콜론(쌍점) 사용법, 헷갈리지 마세요!
글을 쓰다 보면 가끔씩 콜론(:)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헷갈릴 때가 있습니다. 특히 띄어쓰기 때문에 고민하는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.
기본 규칙: 콜론 앞은 붙여 쓰고, 뒤는 띄어 씁니다
국립국어원의 답변을 보면 앞 단어와는 붙이는게 맞다고 되어 있습니다.
현행 문장부호 규정에 명시되어 있습니다. '문장부호'(2015) 6의 [붙임]에 따르면, 쌍점 앞은 붙여 쓰고 뒤는 띄어 씁니다.(일시: 2019. 6. 25./아들: 아버지, 빨리 오세요.) 다만, 시와 분, 장과 절 등을 구별하거나(오전 10:20) 의존 명사 '대'가 쓰일 자리에 쓴(청군:백군) 경우에는 쌍점의 앞뒤를 붙여 씁니다.
가장 일반적인 규칙은 이렇습니다.
콜론 앞의 단어에는 붙여 쓰고, 콜론 뒤의 단어와는 한 칸 띄어 쓰는 것입니다.
<예시>
* 시간: 2024. 7. 31.
* 장소: 서울시 마포구
* 제목: 나만의 레시피
* 일시: 2025. 12. 25. (수)
* 참석자: 김ㅇㅇ, 박ㅇㅇ, 이ㅇㅇ
위 예시처럼 어떤 항목의 내용이나 설명을 덧붙일 때 이 규칙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간단합니다.
* 장소: 서울시 마포구
* 제목: 나만의 레시피
* 일시: 2025. 12. 25. (수)
* 참석자: 김ㅇㅇ, 박ㅇㅇ, 이ㅇㅇ
위 예시처럼 어떤 항목의 내용이나 설명을 덧붙일 때 이 규칙을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간단합니다.
예외 규칙 (콜론 앞뒤를 모두 붙여 쓰는 경우)
하지만 항상 띄어쓰기를 하는 건 아닙니다.다음 두 가지 경우에는 콜론 앞뒤를 모두 붙여 씁니다.
1. 시간을 나타낼 때
* 오전 10:30 (오전 10시 30분)
* 15:00 (오후 3시)
* 오전 10:30 (오전 10시 30분)
* 15:00 (오후 3시)
2. 대립되거나 대비되는 것을 표시할 때
* 청군:백군 (청팀 대 백팀)
* 독해:작문 (독해 대 작문)
* 10:1 (10 대 1)
* 청군:백군 (청팀 대 백팀)
* 독해:작문 (독해 대 작문)
* 10:1 (10 대 1)
특히 시와 분을 구분하거나, '~대~'와 같은 비율을 나타낼 때 유용하게 쓰입니다.